아래 글과 이어집니다.
이제 물때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하셨으면 물때표를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밑에 그림은 바다타임에서 가져온 2018년 9월 30일 물때표입니다.
다른 곳이나 앱에서 보셔도 비슷한 체계로 내용이 나올 것 입니다.
살펴보면 이렇습니다.
어느 물때에서 낚시가 잘될까요?
낚시가 어려운 점은 언제 고기가 잘 잡히고, 잘 잡히지 않는지에 대한 정답이 없다는 겁니다.
지역과 포인트에 따라 물때가 다르고 포인트의 수중 여건, 주위 환경, 수온과 조류에 따라 변수가 많기 때문인데요.
흔히 물고기들은 밀물 때 바닷물과 함께 들어왔다가 썰물 때 함께 빠져나간다고 합니다.
토착성 어종인 볼락, 작은 조피볼락, 망상어 등을 제외한 회유성 어종은 물때와 함께 이동합니다.
1. 3~7m 정도의 수심을 가진 내만권
: 물이 빠질수록 고기가 갯바위에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.
그래서 만조엔 가까운 곳을, 간조엔 먼 곳을 노려야 입질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.
2. 내만권의 수심이 얕은 갯바위
: 밀물 때 고기들이 함께 들어와 갯바위 가장자리를 타고 놀기 때문에 이때를 공략해야 합니다.
3. 8~14m 이상 기본 수심의 중내만권, 원도권, 직벽&홈통지역
: 썰물 때 입질이 집중됩니다.
따라서 비교적 수심이 낮은 서해권 역시 밀물 때 입질이 활발하리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곳은 오히려 썰물 포인트가 많은 편입니다.
낚시는 법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는 예이죠..
바다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고자 하는 포인트의 특성과 물때를 파악해야만 조과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. 고기들은 특정 물때에 집중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이 모든 정보를 취합해 포인트를 잡고, 채비를 꾸려 낚시를 해야 합니다.
위 글이 도움 되시기를 바라며, 안낚들 하세요.
바다 낚시 종류 : 원투낚시 (0) | 2018.11.01 |
---|---|
낚시별 기본 채비 방법 (0) | 2018.10.31 |
바다 물때의 종류 (0) | 2018.10.27 |
낚시 밑걸림 어떻게 대처하나 (0) | 2018.10.26 |
낚싯대의 휨새 및 강도 (0) | 2018.10.26 |